무알콜맥주 음주단속 마시고 운전해도 괜찮을까?

무알콜맥주 음주단속 시원한 맥주 한 잔이 간절할 때가 있지만
운전을 해야하는 상황에서는 술을 마시고 운전을 할 수 없습니다.
최근에는 맛도 일반 맥주와 비슷한 무알콜맥주가 좋은 대안이 되면서 찾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데요.
하지만, 무알콜맥주를 마시고 운전하다가 음주단속에 걸리지는 않을까 걱정해본적이 있으실 겁니다.
무알콜맥주를 마셔도 정말 음주운전으로 잡히지 않을까요.

무알콜맥주란?

무알콜맥주는 논알콜과 알코올 프리 이 2가지로 나뉜다고 합니다.
이 2가지 모두 일반 맥주와 유사한 맛을 내지만 알코올 함량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논알콜

논알콜은 알코올 함량이 1% 미만인 음료를 말합니다.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알코올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았거나
알코올이 소량 함유되도록 제조된 제품 인데요.
엄밀히 말해 알코올이 아주 조금이라도 들어있기 때문에 음료수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알코올 프리

알코올 프리는 알코올 함량이 0.00%인 음료 입니다.
알코올 발효 과정을 거치지도 않았고 발효 후 알코올을 완벽하게 제거한 제품입니다.
알코올이 전혀 들어있지 않으므로 음료수로 분류되며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들도 안심하고 마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말 무알콜맥주는 마시고 싶으신 분들은 알코올 프리인 맥주를 마시면 됩니다.
무알콜맥주 음주단속 - 무알콜맥주 음주단속 가능성

무알콜맥주 음주단속 가능성

무알콜맥주 음주단속 가능성은 제품에 알코올 함량이 얼마나 있냐에 따라 다릅니다.

알코올 프리 제품

금방 위에서도 언급한 알코올 함량이 0.00%인 알코올 프리 제품은 술이 아닌 음료입니다.
그래서 아무리 많이 마셔도 음주단속에 걸릴 가능성은 없습니다.

논알콜

반면에 알코올이 1% 미만으로 함유된 제품은 이론적으로는 이 제품을 마시면 음주단속에 걸릴 수 있습니다.
음주단속의 기준은 혈중 알코올 농도이며 마신 음료의 알코올 함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하지만 음주운전 단속 기준인 혈중 알코올 농도 0.03%에 도달하려면
알코올 0.5%가 함유된 논알콜맥주를 10캔 이상 마셔야 하는 음주운전으로 잡히게 됩니다.
그런데 극히 드물게 체질에 따라 수치가 나올 수 있는 분들도 있습니다.

법적 구분

우리나라 도로교통법상 주류는 알코올 함량 1% 이상인 음료로 정의됩니다.
그래서 1% 미만인 논알콜맥주는 법적으로 술이 아니므로
음주운전으로 단속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라벨을 꼼꼼히 확인하고 음주단속에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음주운전으로 단속될 수 있는 알코올 수치의 기준

음주운전으로 단속되는 기준은
혈중 알코올 농도 0.03% 부터인데 소주 한 잔을 마셨을 때 나타나는 수치입니다.
소주 한 잔을 마신 후 부터는 운전대를 잡아 운전을 절대 하시면 안되고,
혈중 알코올 농도 0.08% 이상은 면허 취소 기준에 부합되고 운전자의 운전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매우 위험합니다.




무알콜맥주 음주 후 주의사항

무알콜맥주 음주단속 대한 걱정을 줄이기 위해선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①제품 라벨에 알코올 프리라고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②극히 드물지만 간 기능이 약하거나 알코올에 매우 민감한 체질이라면 논알콜 맥주라도 미량의 알코올에 반응할 수 있습니다.
③논알콜 맥주를 마시고 운전대를 잡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운전 중 방심하거나, 실제 음주 운전자처럼 위험한 행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무알콜 맥주를 마셨더라도 항상 안전 운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무알콜과 일반 맥주의 차이

무알콜맥주와 일반 맥주는 맛과 향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제조과정

일반 맥주는 보리, 홉, 효모, 물을 발효시켜 알코올을 만들게 되지만,
무알콜맥주는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거나 발효 후 알코올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맛과 향

무알콜맥주는 일반 맥주와 유사한 맛을 내기 위해 인공 향료나 당분을 첨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칼로리

무알콜맥주는 알코올이 없으므로 일반 맥주보다 칼로리가 낮습니다.

실제 사례 및 법적 해석

일부 사례에서는 무알콜맥주를 마신 후 음주단속에 걸린 운전자가 있었습니다.
음주운전으로 걸린 운전자는 무알콜맥주를 마셨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기준을 초과하여 처벌을 받았습니다.
이처럼 무알콜맥주가 100%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무알콜맥주 음주단속 - 실제 사례 및 법적 해석

자주하는 질문

Q.무알콜 맥주를 마시고 바로 운전해도 괜찮은가요?

알코올 프리라고 라벨에 적힌 무알콜 맥주는 마시고 바로 운전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논알콜 제품은 미량의 알코올이 들어 있어서
혹시 모를 가능성에 대비해 운전하기 전에 제품 라벨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무알콜 맥주를 여러 캔 마셨는데 단속될 수도 있나요?

결론 부터 말씀드리면 현실적으로는 어렵습니다.
음주단속 기준인 혈중 알코올 농도 0.03%에 도달하려면 논알콜 맥주를 10캔 이상 마셔야 합니다.
그리고 건강을 생각해서 과도한 양을 마시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Q.무알콜 맥주를 마셨는데 만약 음주 측정기에서 수치가 나왔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만약 음주 측정기에서 미미한 수치가 나왔다면 당황하지 말고
경찰관에게 논알콜 맥주를 마셨다는 사실을 설명해야 합니다.
음주 측정기에서 미미한 수치가 나온건 측정 오류이거나 몸 상태에 따른 일시적인 반응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채혈 검사를 요구하여 정확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참고자료



댓글 남기기